2022년 93.7%, 전년보다 0.5%p 하락
인구 줄지만 ‘1인 가구’ 분화로 가구 수 증가
서울의 주택보급률이 93.7%로 1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1인 가구 분화 등에 따른 가구 수 증가를 주택 보급이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23일 통계청의 신(新) 주택보급률 통계를 보면 2022년 말 기준 전국 주택보급률은 102.1%로 1년 새 0.1%포인트 줄었다. 전국 주택보급률은 2010년(100.5%)부터 2019년(104.8%)까지 꾸준히 오르다가 2020년 103.6%로 꺾였고, 2022년까지 3년 연속 하락했다.
주택보급률은 주택 수를 가구 수로 나누고 100을 곱해 산출한 값으로, 주택 재고가 거주 가구 수에 비해 많은지 적은지를 판단하기 위한 지표다.
서울은 주택보급률이 2019년 96.0%에서 2020년 94.9%, 2021년 94.2%, 2022년 93.7%로 줄었다. 2022년 수치는 2009년(93.1%) 이후 13년 만에 최저치다. 2022년 말 기준 서울 가구 수는 409만8800가구인데, 주택 수는 383만9800세대로 가구 수보다 주택 수가 25만9000호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을 포함해 주택보급률이 100% 이하인 곳은 경기(98.6%), 인천(97.9%), 대전(97.2%) 4곳이다.
비수도권 주택보급률은 2019년 110.1%에서 2020년 108.9%, 2021년 107.4%, 2022년 107.5%로 줄었다. 전국에서 주택보급률이 가장 높은 곳은 경북(113.2%)이며, 전남(112.4%), 충북(111.6%), 충남(110.3%)이 뒤를 이었다.
서울 주택보급률이 100%에 미치지 못하는데 이마저도 과다 산정됐다는 견해도 있다. 주택보급률의 주택 수는 한 가구가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인 ‘거처’(shelter) 단위로 집계한다. 다가구 주택이나 원룸의 방을 쪼개 여러 개의 쪽방을 만들거나, 반지하·지하주택도 ‘적정 주택’으로 간주해 주택 수에 포함된다. 중장기적으로 주택으로 기능하지 못하는 곳을 주택 수에서 빼야 하며, 그렇게 되면 주택보급률은 더 낮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https://v.daum.net/v/20240124053906020
https://blog.naver.com/ksoo707/223126036920
https://cafe.naver.com/ksoo707/157
https://smartstore.naver.com/ksoo707/products/8148006167
https://contents.premium.naver.com/ksoo707/ksoo70701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 계약하면 4000만원 드립니다"…미분양에 '초강수' 뒀다 (2) | 2024.01.24 |
---|---|
소득 안 본다…"서울서 출산하면 1억에 주거도 해결" 파격 제안 (1) | 2024.01.24 |
강남3구 빼고 전국 분양가 시세보다 비쌌다 (3) | 2024.01.23 |
서울 빌라 월세화 가속에 집주인들 ‘역전세’ 악화 (0) | 2024.01.23 |
1기신도시 선도지구 선정…세부기준 6월까지 나온다 (0) | 2024.0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