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보급률 13년 만에 최저
서울 주택 보급률이 93.7%(2022년 기준)를 기록하며 최근 3년 연속 하락해 13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보급률은 주택 수를 가구 수로 나눈 것으로, 100%가 되면 주택과 가구 수가 같다는 의미다. 저출산으로 인구가 줄면 주택 수요도 감소해, 주택 보급률은 올라갈 것이라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었다. 하지만 인구 감소에도 1인 가구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가구 수 증가 속도가 주택을 앞질러 주택 보급률이 오히려 하락한 것이다. 이 때문에 주택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보통 3인 이상 가구를 위해 설계된 아파트 이외에 1인용 소형 주택 등 다양한 형태의 주택 공급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https://blog.kakaocdn.net/dn/be9Uqw/btsDUgb18CJ/6TyCXvYBt81f3OvwDLKH31/img.jpg)
◇서울 주택 보급률 13년 만에 최저
23일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말 기준 서울 주택 보급률은 93.7%로 전년(94.2%) 대비 0.5%포인트 낮아졌다. 2019년(96%) 이후 3년 연속 떨어져 2009년(93.1%) 이후 13년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서울의 주택 보급률은 2009년을 기점으로 재건축·재개발 아파트의 입주가 늘어나면서 꾸준히 올랐다. 하지만 2017년 96.3%로 고점을 찍은 후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다. 1인 가구가 급증하고 있지만, 지난 정부의 부동산 규제와 2022년 하반기 이후 부동산 경기 하락이 겹치면서 주택 공급은 주춤하기 때문이다.
2022년 말 기준 서울 가구 수는 약 410만 가구인데, 주택 수는 약 384만호로 26만호가량 부족하다. 이번 통계에서 주택으로 간주하지 않는 일부 주거용 오피스텔까지 더하면 주택 보급률은 90%대 중후반까지 올라갈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주택이나 오피스텔에 거주하지 않는 가구들은 쪽방과 고시원, 숙박시설 등 비(非)주택에 살고 있다.
전국적으로도 주택 보급률은 떨어지는 추세다. 2022년 102.1%로 2019년(104.8%) 이후 3년 연속 하락했다. 2019년까지만 해도 전국에서 주택보급률이 100%보다 낮은 지역은 서울뿐이었지만, 차츰 늘고 있다. 2022년 기준 주택보급률이 100% 이하인 곳은 경기(98.6%), 인천(97.9%), 대전(97.2%) 등 서울을 포함해 4곳이다. 반면 경북(113.2%), 전남(112.4%), 충북(111.6%), 충남(110.3%) 등은 주택 보급률이 110%를 넘겼다. 이 통계에는 농촌의 빈집도 주택 수에 포함되기 때문에 실질적인 주택 보급률은 이보다 더 떨어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2022년 기준 전국 빈집은 145만1500호로 전체 주택(2224만호)의 6.5%에 달한다.
◇인구 감소에도 주택 보급률 줄어
주택 보급률 하락의 가장 큰 원인은 1인 가구 급증이다. 서울 인구는 2015년 1002만명에서 2022년 943만명으로 5.9%(59만명) 줄었다. 하지만 같은 기간 가구 수는 378만 가구에서 410만 가구로 8.5%(32만 가구) 늘었다. 이 기간 서울에서만 1인 가구가 112만 가구에서 156만 가구로 39.3%(44만 가구) 급증한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반면 같은 기간 주택 수는 378만호에서 384만호로 1.6%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 때문에 “인구가 줄면 집이 남아 집값도 내려갈 것”이라는 부동산 시장의 ‘장기 대세 하락론’이 현실화되지 않는 것이다. 이창무 한양대 교수는 “주택의 수요는 ‘인구’가 아니라, 집에서 사는 단위인 ‘가구(家口)’”라며 “1~2인 가구 증가로 당분간 가구 수는 줄지 않고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주택 시장 안정을 위해서는 주택 보급률 100% 달성을 넘어, 여분의 주택 재고까지 확보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도심일수록 재건축·재개발 등으로 기존 주택이 철거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특히 주택 수에 포함되는 ‘반지하 주택’ 등 주거 환경이 떨어지는 것까지 포함하면, 체감하는 주택 보급률은 더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미국은 2010년 이후 주택 보급률이 107~111% 사이에서 움직이고 있으며, 일본도 1990년대 중반 이후 110%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https://v.daum.net/v/20240124030428117
인구 줄어도 1인 가구 폭증… 서울 살 집이 부족하다
서울 주택 보급률이 93.7%(2022년 기준)를 기록하며 최근 3년 연속 하락해 13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보급률은 주택 수를 가구 수로 나눈 것으로, 100%가 되면 주택과 가
v.daum.net
https://blog.naver.com/ksoo707/223126036920
일반 직장인이 전세부터 강남 자가에 꼬마빌딩 2채 보유까지 (내돈내산)
이단단 꼬마빌딩 내돈내산 이단단 꼬마빌딩 내돈내산 이단단은 어떻게 40대 중반 나이에 강남 국평 자가에 ...
blog.naver.com
https://cafe.naver.com/ksoo707/157
★ 이단단의 꼬사사 카페 활용 방법 ★
이단단의 꼬사사 카페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꼬사사 카페 이용 방법 1. 꼬마빌딩 변천 과정 (입지 스터디) 1) 수도권의 약 100곳의 스타벅스와 맥도날드 ...
cafe.naver.com
https://smartstore.naver.com/ksoo707/products/8148006167
[전자책] 꼬마빌딩 투자 처음부터 따라하는 매수 노하우 공개 : 이단단 부동산 평생 동반자
[이단단 부동산 평생 동반자] 부동산 투자를 위한 기초 다지기 / 흙수저에서 금수저까지 셀프 등업하기 / 경제적자유 달성
smartstore.naver.com
https://contents.premium.naver.com/ksoo707/ksoo70701
꼬마빌딩(가치판정분석법) 투자 실전기 :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1. 강남 자가에 꼬마빌딩 3채 보유 중인 대기업 직장인 투자자 / 2004년 빌라 2채 투자, 2009년 미분양권 투자로 폭망 후 , 2015년 부터 본격적인 부동산 공부 및 본격 투자 , 2018년 법인설립 및 아파트,
contents.premium.naver.com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PF 위기에…LH, 택지 팔고 못 받은 돈 '눈덩이' (4) | 2024.01.24 |
---|---|
거래량 받쳐주는 곳 어디?…송파 헬리오시티 1위 (1) | 2024.01.24 |
올해 강남3구 분양 쏟아져…절반은 ‘후분양’인 이유 (4) | 2024.01.24 |
'1+1'주택이 뭐길래…'구청과 갈등' 북아현2구역 총회는? (2) | 2024.01.24 |
머나먼 내집 마련 … 서울 주택보급률 13년만에 최저 (1) | 2024.0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