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S리포트-태영 사태(1)] 미착공 현장 사업 철회 위기
[편집자주]민영 방송사 SBS를 소유한 태영그룹의 모태 기업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재무구조 개선작업)을 위한 실사를 진행하고 있다. 한국신용평가는 태영건설이 올 4분기까지 상환해야 하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보증 채무를 지난해 11월 말 기준 3조6027억원으로 추산했다. 우발채무 9639억원 중에 6492억원(67.4%)은 첫 삽을 뜨지 못한 미착공 사업장의 빚이다. 공정률이 높은 현장은 태영건설이 공사를 지속할 가능성이 크지만 문제는 13곳에 달하는 미착공 사업장이다. 채권단의 동의로 태영건설은 오는 4월11일까지 채무 상환을 유예받아 당장 '빚의 압박'을 벗어나게 됐지만 이는 일시 조치일 뿐이다. 결국에는 총수 일가가 SBS와 지주회사인 티와이(TY)홀딩스의 주식을 담보로 내놓아야 하는 상황에 이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국내 신용평가업계에 따르면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건설업체 채권 금액은 3조2000억원에 달한다. 상반기에 약 2조3700억원의 건설 채권 만기가 예정돼 있다. /그래픽=강지호 디자인 기자◆기사 게재 순서
(1) 건설업체 올해 만기 도래 채권 '3.2조원'
(2) 물 들어올 때 노 저은 건설… 자본 초과 PF 보증 제동 없었나
(3) [르포] "입주할 수 있을까요"… 데시앙 아파트 계약자들 불안
# 대전광역시 중구 유천1구역 지역주택조합은 당초 올해 일반분양을 실시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시공사인 태영건설의 워크아웃(재무구조 개선작업) 신청으로 청약률을 우려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태영건설 채권단도 시공사 교체를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태영건설은 유동성 위기가 불거진 지난해 9월 유천1구역 지역주택조합 사업을 수주했다. 현재로선 공사 지연이나 시공사가 바뀌는 등의 리스크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사업 지연에 따른 이자 비용 증가 등은 조합과 향후 일반분양 계약자가 부담해야 한다.
태영건설에 자금을 빌려준 금융회사와 개인투자자 등 609개 채권단은 지난 11일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개시를 결정했다. 채권단은 태영건설 정상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이번 주 실사 절차에 돌입한다. 실사 과정의 핵심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별 처리 방안을 확정하는 것이다.
국내 신용평가업계에 따르면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건설업체 채권 금액은 3조2000억원에 달한다. 상반기에 약 2조3700억원의 건설 채권 만기가 예정돼 있다.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개시를 시작으로 전국 3500개에 달하는 부동산 PF 사업장의 '옥석 가리기'가 본격화할 전망이다.
태영건설의 PF 사업장 60곳은 3~4개월 실사를 받는다. 윤세영 태영그룹 창업회장은 "정리가 필요한 곳이 있다면 과감히 정리하겠다"고 밝혔다. 태영건설을 시작으로 다른 브리지론 사업장의 구조조정도 예상된다. 대주단 협약이 진행된 187개 사업장 가운데 브리지론 사업장은 144곳에 달한다. 브리지론은 저축은행·새마을금고·캐피털·증권사 등 제2금융권이 인·허가 전 고금리 단기로 빌려주는 자금이다. 만기가 3~6개월로 짧다.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실사 완료 시점인 4월 이후 만기가 재도래하는 사업장이 많은 것으로 분석된다.
대전 주거환경개선사업 효자구역도 태영건설이 계룡건설, 대우건설과 컨소시엄을 이뤄 2019년 시공권을 수주했다. 계룡건설 45%, 대우건설 33%, 태영건설 22%의 지분으로 구성됐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이전에 금호건설 등의 워크아웃 당시에 공사를 완료한 사례가 적지 않다"면서 "다만 컨소시엄사들이 채권단을 통해서만 각종 결재 업무를 진행하는 등의 간접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세영 태영그룹 창업회장 /사진=임한별 기자━
개발사업 초기에 해당하는 브리지론 사업장 18곳은 사업성이 낮다고 판단되는 경우 시공사 교체와 경·공매 등을 통해 매각될 가능성이 크다. 채권단은 의견 조율을 위해 조만간 공동위원회를 구성할 예정이다.
채권단협의회는 오는 4월11일까지 외부 전문기관을 선정해 태영건설의 자산·부채 실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와는 별개로 태영건설이 협력업체에 미지급한 대금과 임금 체불 문제도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다.
태영건설과 하도급계약을 체결한 업체는 450여곳. 이들에 대한 비용 지급 등 실사 기간 동안 필요 자금은 5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과정을 거쳐 워크아웃 졸업까지 예상되는 시간은 수 년가량이다. 쌍용건설은 2004년 워크아웃을 졸업하고 2013년 재신청한 사례가 있다.
문제는 착공 인·허가를 받지 못한 미착공 사업장이다. 사업 부지를 매수하기 위해 대출만 받아놓고 실제 사업 착수를 못한 경우 채권자의 입장에선 자금 회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사업자 교체와 매각 등을 고려할 수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경·공매를 진행하게 되면 이를 기회 삼아 유동성이 있는 건설업체들이 사업을 인수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https://v.daum.net/v/20240118060219398
https://blog.naver.com/ksoo707/223126036920
https://cafe.naver.com/ksoo707/157
https://smartstore.naver.com/ksoo707/products/8148006167
https://contents.premium.naver.com/ksoo707/ksoo70701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끌어모았던 영혼을 찾습니다”…노·도·강 아파트, 규제 완화에도 하락세 (1) | 2024.01.19 |
---|---|
경기 소형아파트 월세비중 ‘55%’ “역대 최고” (1) | 2024.01.18 |
용산전자상가 AI 거점된다…용적률 1000%이상 허용 (0) | 2024.01.18 |
아파트 착공도 반토막… “이대론 2~3년 뒤 집값 급등” (0) | 2024.01.18 |
지난해 11월 아파트 거래·금액 모두 감소… 한달새 15% 뚝 (0) | 2024.01.18 |
댓글